파트별인테리어/전실

전실 중문이 예쁜 20평대아파트인테리어 동탄2 우남퍼스트빌

화인디자인인테리어 2015. 4. 29. 05:01




20평대아파트 현관입니다.

사진만보고 설명이 없다면 아마도 갤러리라는 착각마져 들게하는 디자인은

아닐까 싶습니다. 유명한 백화점에 명품을 판매하는 곳이나 보석을 취급하는 귀금속 매장을

옮겨 놓은 듯한 착각마져들게 하는 디자인은 아닐까 싶습니다.





동탄2신도시 우남퍼스트빌 구경하는집으로 인테리어가 이루어지고

입주자 분들에게 소개가 이루어졌던 샘플하우스입니다. 사진 속에서는 명품가방이나

귀금속을 찾아 보기 어렵지만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유명 브랜드 제품의 고급스러운 매장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디자인된 곳이 아파트 현관이라는 것이 믿겨지지 않을 정도입니다.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이렇게 디자인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그 만큼 많은 경험과 노하우가 쌓여진 회사가 아니면 불가능한 디자인일 것입니다.

단조로운 듯하면서도 깔끔하고 산뜻한 느낌이 들게 하는

우남퍼스트빌 20평대아파트인테리어 전실입니다.


사소한 것처럼 보여지는 타일과 타일사이에는 줄눈이 시공되어 있습니다.

줄눈을 아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줄눈시공하나로 바닥의 청결함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경험일 것입니다. 꼼꼼한 마무리에

디테일한 디자인이 하나가 되어 갤러리 분위기를 이끌어 내는 것은 아닐까 싶습니다.






위의 사진과는 전혀다른 분위기 이지만 앞에 사진에서 중문이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전실인테리어입니다. 중문하나로 전실이나 현관이

아파트 복도와 구분이되고 열에너지 손실이나 신도시 구축에 따른 공사 현장에서

날리는 흙먼지들과 신발장 깊숙히 보관된 오래된 신발 속에서 나는 쾌쾌한 발냄새나

곰팡이로부터 실내를 분리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 중문입니다.






전실내부 사용된 바닥재와 신발장을 보기 쉽도록 준비한

전실인테리어 사진인 것 같습니다. 천장 등박스와 전실 중문이 맞닿는 부분의 디테일함이

그대로 보여지기도 합니다.






20평대아파트인테리어 전실 바닥재와 포인트를 살펴볼 수 있는

사진자료입니다. 방화문 철문은 보이지 않지만 천연대리석으로 시공한 문선도 보여지는

현관인테리어입니다.






신발을 벗고 올라서면 좌측으로는 거울을 시공하여

집에 들고 나가는 모든 분들이 옷매무세와 용모를 점검해 볼 수 있는 단초로움까지

배려한 전실입니다. 구경하는집으로 디자인하고 인테리어를 한 세대이지만

이런 디자인 속에서 입주자가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건 그 만큼 행운도 함께 하지 않았나 싶고요.

부럽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중문이 렬리고 닫힌 과정이 두 장의 사진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자료가 준비되었습니다. 중문은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디자인이 좋은 제품이 있는가 하면 가격이 높으면서 무디어 보이는

제품도 있습니다. 중문 디자인의 취향은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목재로 사용된 목문은 청소할 때 물청소를 배제하는 것이 좋고 알루미늄 샷시 중문은

바닥 레일재료의 마모율이 없거나 심하지 않은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탄2신도시 우남퍼스트빌 20평대아파트인테리어 전실에 시공된 중문은

2연돈 포켓중문을 시공하였습니다. 중문 시공과 디자인 구경하는집으로 인테리어하고 디자인하기 위해

컨셉미팅을 가질 때 입주예정자분과 상의 하여 결정을 짓게 되지만

단지내에서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각별한 노력들을 기울이게 되는 인테리어의 특징을

가지기도 합니다.








이런 분위기와 느낌이 나도록 인테리어를 하고 디자인할 수 있는 업체라면

많은 공사비용을 준비해서라도 공사를 해 봄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행운입니다. 업체가 어떤 실력을 갖추었느냐는 ...,

구경하는집으로 저희와 함께 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신축아파트에 입주를 앞두고 있는'

입주예정자 분이라면 편하게 상담받아 보십시오.

이렇게 예쁜 전실디자인 또 다시 고민해 보겠습니다.





아파트 복도에 시공된 복도이미지입니다.

전실 2연동 포켓 중문을 열고 실내로 들어서면 순백의 에코스톤이 반깁니다.

가상이기도 한 느낌이자 유럽풍의 건축물이 연상되기도 하는 조형물이 아닐까도 싶습니다.